[천안함 침몰] 3월26일 밤 서해 NLL 해상엔 무슨 일이… 제3의 초계함 ‘성남함’도 있었다 해군 천안함이 침몰한 지난 26일 오후 9시22분 당시 서해 북방한계선(NLL) 인근 해상에는 천안함과 속초함 외에 제3의 초계함인 ‘성남함’이 함께 작전 중이었던 것으로 5일 밝혀졌다. 또 이들 초계함 3척은 북 잠수함 기지를 감시 중이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국방부는 최근 국회에 .. 천안함/천안함 2012.01.25
[3·26 천안함 침몰] 천안함 인양 작업 어떻게 수심 낮은 곳으로 함미 300~500m 옮긴 뒤 끌어올려 4일 오후 2시쯤 백령도 천안함 침몰사건 해역. 수심 45m에 가라앉은 함미에서 서남쪽으로 400m 떨어진 지점에 민간 해상크레인 ‘삼아 2200호’가 웅장한 모습을 드러냈다. 지난달 29일 거제를 출발해 소청도 인근 해역에 있다 선체 인.. 천안함/천안함 2012.01.18
3월 28일 국방부 브리핑 ▣ 국방부 오후 브리핑 일시 3.28 16:00장소 국방부 브리핑룸 *원태제 국방부 대변인현재 해난구조대가 침몰 현장에서 탐색구조활동을 펼치고 있으나 SSU 대원들이 몇차례 입수를 시도했으나 시야가 불량하고 조류가 강해서 어려움을 겪고 있다. 합참 공보실장 자세한 내용 브리핑 *.. 천안함/천안함 2012.01.17
천안함 합동조사단 조사 결과 1차 결과 발표문 요약·발췌 <천안함 침몰 사건 발생상황> △ 사건 발생 전 함교에 당직사관 7명, 전투상황실에 7명, 통신실에 상사 2명, 41포 상비 탄약고에 3명, 기관조종실에 6명, 유도조종실에 1명, 디젤기관실에 하사 2명 등 총 29명이 당직 근무 중이었음. 기타 인원은 침실, 식당 등에서 휴식 및 취침 중.. 천안함/천안함 2012.01.17
사고때 파고, 기상대 “1m”… 해군 “2.5m” 군 해명에도 풀리지 않는 의혹 … ‘지형적 이점 활용’ 주장도 신빙성 낮아 국방부가 1일 천안함 침몰사고와 관련해 제기된 각종 의혹에 대해 해명했지만 여전히 풀리지 않는 의혹이 있다. 침몰 원인은 차치하고라도 왜 천안함이 백령도 1마일(1.6㎞)까지 근접했는지에 대해 명쾌.. 천안함/천안함 2012.01.17
[이슈 토론 중앙SUNDAY vs 국방부 천안함 합조단]① 어뢰 ‘1번’ 글씨와 알루미늄 산화물 Q:1번 글씨 잉크, 알루미늄 분말 녹아 붙는 고온 속에서도 왜 안 탔나 A:산화물은 고온 아니라도 흡착 … 이승헌 교수'실험은 전제부터 틀려' Q=합동조사단은 결정적 증거의 하나로 ‘천안함과 어뢰추진체에서 발견된 하얀 흡착물인 비결정질 알루미늄 산화물’을 들었다. 두 물질.. 천안함/천안함 2012.01.16
한국 기자협회 제기 천안함 의문점 답변자료 1. 어뢰 설계도에 적힌 일본어 글자에 대한 명확한 해명이 필요 ○ 설계도면의 일본어 표기는 일본어처럼 보이지만 일본어가 아니며, 컴퓨터의 프로그램 호환상 문제로 인해 발생한 컴퓨터 상의 무의미한 기호임. 2. 설계도상 모터는 직사각형이나 실제 발견된 모터는 유선형? ○ .. 천안함/천안함 2012.01.16
"천안함 침몰=어뢰 폭발?…알루미늄은 진실을 말한다" [분석] 합조단 '비과학' 비웃는 권위자들의 책ㆍ논문 보니… 천안함 침몰의 원인을 놓고 합동조사단이 어뢰 폭발의 증거라고 내놓은 증거의 허점이 계속 드러나고 있다. 지난 5월 20일 합동조사단(이근덕 박사)은 "어뢰의 성분인 알루미늄이 폭발처럼 빠른 시간 내에 큰 에너지를 .. 천안함/천안함 2012.01.15
윤덕용 단장 "1번 어뢰 의혹에 답한다" - 추진체 후진…‘1번’ 불에 안 타 ■ 방송 : FM 98.1 (07:00~09:00) ■ 진행 : 시사평론가 이종훈 ■ 대담 : 윤덕용 천안함 민군합동조사단장 (카이스트 명예교수) 천안함 조사결과 발표 이후에도 의혹은 계속 이어지고 있습니다. 최근엔 미국 버지니아 대학의 한국인 물리학자가 “어뢰가 폭발했다면 폭발 시 발생하는 열.. 천안함/천안함 2012.01.14
[천안함 침몰] 민간업체 “천안함 함미 신속인양 촉구”에 軍 묵살 침몰한 천안함 함미 이동작업 방식에 대해 인양 전문가들이 의문을 제기하고 나섰다. 수중에서 함미를 이동할 수 있는 상황이면 함미를 바지선 위로 올려놓는 작업이 가능한데도 군이 인양을 늦추고 있다는 것이다. 특히 군이 함미 이동작업 과정에서 절단면이 드러나지 않도록 .. 천안함/천안함 2012.01.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