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안함/천안함

미군 폭발물처리반 현장 급파

호랑이277 2012. 6. 1. 18:38

우리 당국도 이젠 잠수사요원 안전 생각해야
실종가족의 안타까움 불구 … 수색 장기화국면

오바마 미국 대통령이 1일 이명박 대통령과의 통화에서 적극적인 지원의사를 피력한 데 이어 미군 폭발물처리반이 현장으로 급파됐다.


이에 따라 현실적으로 수색작업이 장기화 국면으로 접어드는 만큼 우리 당국도 잠수사들의 안전이 확보되는 방식으로 구조작업을 변경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45m 수중이라는 심해잠수 자체도 위험하지만 침몰 군함에 탑재된 탄약의 폭발 위험도 제기되고 있기 때문이다. 폭발물처리반이 오기까지 수중작업을 미루고 있는 미군의 작업방식만 봐도 우리 잠수사들이 얼마나 위험에 노출돼 있는가 알 수 있다. 합동참모본부에 따르면 백령도 사고해역에는 총 20척의 해군함정과 160명의 잠수사들이 작업을 하고 있다.


미 해군 7함대 대변인 안소니 팔보 중위는 “불행히도 이번 구난작업은 대자연에 맞선 시간싸움”이라고 2일 ‘성조지’와의 인터뷰에서 말했다. 현장에는 4척의 미 해군함정과 16명의 구난요원이 배치돼 있다. 하와이 진주만에 배속돼 있는 이 구난팀은 신속하게 현장에 도착했지만 잠수 안전수칙에 따라 침몰 1주일 동안 한 차례의 수중작업도 실시하지 못했다고 한미 연합사령부는 밝혔다.


반면 한국군은 ‘단 한명의 생명이라도 살아있을 지 모른다’는 이유로 안전규정을 무시한 채 심해장비도 갖추지 못한 스쿠버잠수를 강행하고 있다. 군 당국에 따르면 심해장비(SSDA)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함선을 고정시키는 등 설치에만 3~4일이 소요되기 때문에 시간을 지체하고 있을 수 없다고 한다. 해난구조대(SSU)와 수중폭파특수대(UDT) 장병들의 ‘살신성인’과 ‘다져진 체력’만 믿고 무리한 작업을 하고 있는 것.


하지만 고 한주호 준위와 같은 사고가 또 다시 발생하지 말란 법이 없다. 한 준위와 같은 날 잠수했던 또 다른 잠수사도 수중에서 의식을 잃어 응급치료를 받은 바 있다.


미군 구조대도 지난 31일 잠수계획을 세웠다가 조류 등 해상조건 악화로 이를 포기했다. 미군의 이날 계획은 본격 구조대 수색에 앞서 천안함에 탑재된 탄약 등의 폭발 가능성을 사전 파악하기 위해 음파탐지기(소나)를 내려보내는 계획이었다. 즉 한국군은 심해잠수 그 자체의 위험에다 탄약의 폭파 가능성도 무시한 채 작업하고 있다는 얘기다. 미군은 7명으로 구성된 폭발물처리반 ‘유닛 5’가 2일 현장에 도착해 수중작업의 안전성 여부가 확인된 뒤 실제 구조작업을 시작할 지를 결정할 예정이다. 팔보 대변인은 “우리는 잠수에 앞서 100% 안전조건을 확실히 하자는 것”이라고 말했다.


조숭호 기자

2010-04-02 오전 11:58:25 게재

http://www.naeil.com/News/politics/ViewNews.asp?nnum=535488&sid=E&tid=1